일, 십 백 천 만 억, 조 경 해 자, 양, 구, 간 정 재 극

집수리 창업설명회 무료신청하기
마감
01-04 09시 [토]
12/23 신청
마감
01-08 05시 [수]
9/11 신청
마감
01-10 17시 [금]
9/10 신청
마감
01-13 09시 [월]
4/10 신청
마감
01-16 17시 [목]
2/10 신청
마감
01-19 08시 [일]
5/15 신청
마감
01-21 12시 [화]
11/10 신청
마감
01-23 17시 [목]
12/10 신청
신청 가능
02-02 09시 [일]
5/10 신청
신청 가능
02-05 09시 [수]
4/10 신청
신청 가능
02-08 09시 [토]
4/10 신청
신청 가능
02-14 18시 [금]
1/10 신청
신청 가능
02-18 17시 [화]
0/10 신청
신청 가능
02-23 09시 [일]
1/10 신청
신청 가능
02-26 09시 [수]
0/10 신청

일, 십 백 천 만 억, 조 경 해 자, 양, 구, 간 정 재 극

일 십 백 천 만 십만 백만 천만 억 십억 백업 천억 조 십조 백조 천조 경 십경 백경 천경 해 십해 백해 천해 자 십자 백자 천자 양 십양 백양 천양 구 십구 백구 천구 간 십간 백간 천간 정 십정 백정 천정 재 십재 백재 천재 극 십극 백극 천극

수사
한국어한자이십체진이만체진이억체진상수
一/壹100100100100
十/拾101101101101
百/佰/陌102102102102
千/仟/阡103103103103
萬/万104104104104
105108108108
106101210161016
107101610241032
108102010321064
1091024104010128
穰/壤10101028104810256
10111032105610512
101210361064101024
101310401072102048
101410441080104096
101510481088108192
항하사恒河沙1016105210961016384
아승기阿僧祇10171056101041032768
나유타那由他10181060101121065536
불가사의不可思議101910641012010131072
무량수/무량대無量數/無量大數102010681012810262144
일, 십 백 천 만 억, 조 경 해 자, 양, 구, 간 정 재 극

큰 수의 이름

큰 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나라와 지역, 언어마다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각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큰 수의 명칭과 그 변화 방식, 특히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방식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하겠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큰 수의 명칭은 오랜 역사와 수학적 개념을 반영하고 있으며, 문헌에 기록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일(一) 십(十) 백(百) 천(千) 만(萬) 억(億) 조(兆) 경(京) 해(垓) 자(秭) 양(穰)

구(溝) 간(澗) 정(正) 재(載) 극(極) 항하사(恒河沙) 아승기(阿僧祇) 나유타(那由他)

불가사의(不可思議) 무량대수(無量大數)



한자 문화권의 큰 수 명칭

한자 문화권, 즉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일본, 싱가포르 등의 나라에서는 다음과 같은 큰 수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십진법(하수)

십진법은 큰 수의 이름이 열 배씩 변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 10만은 억
  • 10억은 조
  • 10조는 경

이러한 방식으로 큰 수는 10배씩 커지며 명칭이 바뀝니다.

만진법(중수)

만진법은 큰 수의 이름이 만 배씩 변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 10만은 억
  • 만억은 조
  • 만조는 경

이 방식은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십진법과 달리 수의 증가 폭이 더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억진법

억진법은 억 배씩 변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 만만은 억
  • 억억은 조
  • 억조는 경

이 방식은 과거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상수

상수는 수의 변화가 제곱씩 커지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 만만은 억
  • 억억은 조
  • 조조는 경

이 방식은 고대 수학에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고대 문헌 속의 큰 수 명칭

고대 중국의 수학서적에는 다양한 명칭과 큰 수를 나타내는 방식이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 《수술기유(數術記遺)》: 이 문헌에서는 억부터 재까지의 수사와 하수, 중수, 상수 등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오경산술(五經算術)》: 이 문헌 역시 고대 수학의 중요한 기록으로, 큰 수의 명칭과 그 변화 방식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 《산학계몽(算學啓蒙)》: 불교 용어에서 유래한 극부터 무량대수까지의 명칭이 추가된 문헌입니다.

현대 한국의 큰 수 명칭 사용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만진법을 기반으로 큰 수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만은 10^4
  • 억은 10^8
  • 조는 10^12
  • 경은 10^16

일본에서는 18세기까지 억진법을 사용하다가, 개화기 이후 만진법을 도입하여 오늘날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하는 명칭은 매우 유사합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여전히 십진법이나 억진법을 설명하는 문헌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다양한 방식으로 큰 수의 명칭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큰 수 명칭 비교표

수사한자십진법만진법억진법상수
10^010^010^010^0
10^110^110^110^1
10^210^210^210^2
10^310^310^310^3
10^410^410^410^4
10^510^810^810^8
10^610^1210^1610^16
10^710^1610^2410^32
10^810^2010^3210^64
10^910^2410^4010^128

이 표는 한국어와 한자, 그리고 각각의 명수법에 따라 큰 수의 변화를 비교

screenshot 2024 09 10 오후 1 30 05 일

‘자영업자 살리기 프로젝트’

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200명의 자영업자를 지원하여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집수리 창업설명회 무료신청하기
마감
01-04 09시 [토]
12/23 신청
마감
01-08 05시 [수]
9/11 신청
마감
01-10 17시 [금]
9/10 신청
마감
01-13 09시 [월]
4/10 신청
마감
01-16 17시 [목]
2/10 신청
마감
01-19 08시 [일]
5/15 신청
마감
01-21 12시 [화]
11/10 신청
마감
01-23 17시 [목]
12/10 신청
신청 가능
02-02 09시 [일]
5/10 신청
신청 가능
02-05 09시 [수]
4/10 신청
신청 가능
02-08 09시 [토]
4/10 신청
신청 가능
02-14 18시 [금]
1/10 신청
신청 가능
02-18 17시 [화]
0/10 신청
신청 가능
02-23 09시 [일]
1/10 신청
신청 가능
02-26 09시 [수]
0/10 신청

창업 설명회 무료 신청하기 (클릭)

부담없이 신청 가능하니!!

많은분들이 참여하여

창업의 기회를 만들어보세요!!